최근에 스트라이크 KYC를 강제하도록 바뀌면서 Boltz 스왑으로 개인지갑에 비트코인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이렇게 하면 그나마 KYC를 희석하는 효과가 있다나
사실 난 이전에도 편의를 위해 스트라이크의 KYC 인증을 하고 무료로 전송을 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월렛 오브 사토시도 사용해보고 Boltz 스왑을 이용해서 비트코인을 옮겨보는 연습을 해보게 되었다.
X의 하워드⚡️님(@Notesfor_X)
[개인지갑 전송 스트라이크 대체 방안 후기] 기존에 셀프커스터디를 하면서 사용하던 방식 *해외거래소-스트라이크-지갑 에서 *해외거래소-월렛오브사토시-Boltz-지갑 으로 전송을 해봤습니다. 1/
x.com
대충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알려준 글과 영상들을 참고했다.
Boltz | Non-Custodial Bitcoin Bridge
Swap between different Bitcoin layers while staying in full control.
boltz.exchange
Boltz 웹사이트로 접속하면 바로 스왑 페이지가 반긴다.
나는 월렛 오브 사토시 지갑에서 개인지갑으로 옮겨보기 위해 라이트닝 -> 온체인 비트코인으로 설정했다.
위 또는 아래에 적당히 옮길 개수를 입력하면 수수료 등을 계산해서 보여준다.
"Enter BTC Address"란에 받을 지갑의 주소를 입력하고 활성화된 SWAP 버튼을 누르면 주소와 QR이 나오는데 이 주소를 복사하거나 스캔해서 월렛 오브 사토시로 보내기 승인하면 된다.
보낸 이후 페이지로 돌아가면 완료되었다는 페이지를 보여준다.
블루월렛으로 확인하니 아직 보류중이지만 내가 보낸 개수의 비트코인 기록이 표시된 것을 확인했다.
'기록 > 투자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CONY 배당회수 기록 (0) | 2025.06.27 |
---|---|
2025년 5월 CONY 배당회수 기록2 (0) | 2025.05.28 |
CONY 기타대여금발생 (0) | 2025.05.13 |
2025년 5월 CONY 배당회수 기록1 (0) | 2025.05.07 |
2025년 4월 CONY 배당회수 기록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