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카드퓨터 비트코인 하드월렛 - 서명 테스트와 psbt확인 개선

복제고양이 2025. 9. 25. 22:46
300x250

 

 

카드퓨터 비트코인 하드월렛 - 니모닉 4글자 자동 인식 기능

니모닉은 4글자 이상의 단어중에서 앞의 4글자가 중복되지 않는다. 4글자만 입력해도 전체 니모닉 단어 중에서 하나를 찾을 수 있다. 이 카드월렛은 아쉽게도, 니모닉을 입력할때 각 단어를 모두

duplicat.kr

 

 

저번 카드퓨터 비트코인지갑 개선에 이어서..

 

이제 이 지갑이 실제로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해볼 차례다.

 

물론 깃허브 설명에서는 스패로우 월렛으로 비트코인 보내기가 가능하다고 하지만 직접 해봐야 확실하다.

당연히 스패로우 월렛에서 내보낸 psbt파일이 카드월렛에서 서명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런데 넌척 어플에서 동일하게 psbt를 가져와서 이 기기에 입력하면 서명 실패라고 뜬다.

분명 같은 psbt인데 왜 스패로우만 되고 넌척은 안되는걸까

 

 

 

두 psbt파일을 텍스트파일로 열어보니 확실히 다른점이 있었다.

 

넌척

cHNidP8BAHECAAAAAZas2XTXBX86OZe9kMzZza+EBwExf+dvJitiqo/F3fwKBAAAAAD9////AhAnAAAAAAAA ......

 

 

 

스패로우

psbt�q���9S#W>0\cU׶(_	|����*�������S6X ....

 

 

 

 

 알아보니 넌척은 base64인코딩, 스패로우는 바이너리 형식이라고 한다.

즉 카드월렛은 psbt가 바이너리로 들어와야지 제대로 인식하고 서명할 수 있다.

 

다양한 시도 끝에 추가한 코드는 정말 별것 없었지만 

적절한 위치에서 psbt의 base64인코딩 여부를 체크하고 변환하는 방법을 찾는데 시간이 많이 들었다.

내부에서 한번 base64인코딩을 거치기 때문에 이미 인코딩이 되어있으면 또 인코딩을 하지 않도록 변경했다.

 

 

어쨌든 성공했으니 만족한다.

 

덕분에 스패로우 월렛 말고도 넌척 월렛에서 내보내기한 psbt파일도 정상적으로 서명할 수 있었다.

 

 

 

조금 더 욕심을 내서 블루월렛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psbt파일을 열어보니 넌척과 똑같이 인코딩이 되어있었다.

디코딩 후 비교해보니 내용이 조금 다르고 블루월렛의 psbt 내용도 더 짧았다. 

뭔가 다른 형식이어서 그런것 같은데 이건 좀 더 찾아봐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