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부 151

테이블과 의자

참고한 동영상: 비도 많이 오는 주말, 갑자기 블랜더를 하고 싶었다. 의욕이 생겨서 뭐라도 만들어 보고 싶었는데, 오랜만에 툴을 키니까 그나마 알던 사용 법도 잊어버렸다. 그렇게 블랜더 강의들을 찾던 중 비교적 간단해 보이는 유튜브 강의 하나를 발견해서 그대로 따라했다. 단순히 큐브를 이용해서 테이블, 의자를 만드는 과정을 알려 주면서 사용하는 단축키와 툴도 많지 않아 쉽게 배울 수 있었다. 일본어로 설명하는 것은 거의 이해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자막으로 단축키도 알려주고 여러 번 보여주면서 알려주니끼 할만했다. 랜더링은 eevee를 사용했다. 다른 옵션은 랜더링이 너무 오래 걸려서 기다리다 포기했다. 제대로 된 랜더링은 나중에 좀 더 퀄리티가 높은 모델링을 했을 때 날을 잡아서 해봐야겠다.

[유니티] URP Terrain으로 지형 만들기 - 3

이번에는 기본 격자로만 표현되었던 지형에 텍스쳐를 입힐 차례다. 인스펙터 창에서 Terrain 컴포넌트의 옵션 중에 "Paint Texture" 를 선택한다. 처음에는 Layer가 비어 있으니 Add Layer로 원하는 지형 텍스쳐를 추가한다. 아마 기본으로 제공하는 것들이 있을 것이다. 제일 먼저 고른 텍스쳐 기준으로 전체가 채워진다. 나머지는 풀과 나무를 추가했을때처럼 편집하면 된다.

공부 2023.04.16

[유니티] URP Terrain으로 지형 만들기 - 2

[유니티] URP Terrain으로 지형 만들기 - 1 (duplicat.kr) 에 이어서.. [유니티] URP Terrain으로 지형 만들기 - 1 유니티의 URP를 이용해 지형을 만들어야하는 일이 생겨서 한번 도전해보았다. 많은 영상들이 있었지만 이 영상이 짧고 빠르게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서 이걸 보고 따라했다. (36) 유니티에서 무료 duplicat.kr 저번에 이런 경고가 뜨면서 클릭을 해도 풀이 생성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원인을 알 수 없어 다음으로 미루다 오늘 다시 작업을 하게 되었는데 여전히 답을 찾지 못하다가 생각지도 못하게 문제를 해결했다. 이 상태에서는 풀 한 포기 생성이 되어있지 않은 것 처럼 보이지만.. 이렇게 확대를 해 주면 클릭을 했던 자리에 풀이 자라 있는 것을 확인..

공부 2023.03.26

[유니티] URP Terrain으로 지형 만들기 - 1

유니티의 URP를 이용해 지형을 만들어야하는 일이 생겨서 한번 도전해보았다. 많은 영상들이 있었지만 이 영상이 짧고 빠르게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서 이걸 보고 따라했다. (36) 유니티에서 무료에셋만 사용해서 자연 만들기 (쉬움) - YouTube 유니티를 실행하고 저 에셋을 받는다. 의존성 문제로 이상한 창이 떳다. Install/Upgrade를 눌러도 뭔가 설치 후 똑같이 뜬다. 불안하지만 그냥 무시하고 넘어갔다. Import는 된 것 같으니.. 제대로 받았다면 3D Object에 Terrain이 있을 것이다. 생성해준다. Inspector에서 Terrain 컴포넌트 맨 위에 있는 아이콘 그룹 중에서 제일 오른쪽을 선택하고 지형 크기를 설정한다.(Terrain Width, Length) 기본은 100..

공부 2023.03.19

구글 애드센스 심사 성공

오늘 잠시 이메일을 확인하다가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메일이 상단에 있었다. 드디어 내 도메인으로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저번에 문제를 해결하라는 메일이 이틀 전에 왔는데 오늘 확인된 것을 보면 그 외에는 조건이 충족되었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AI가 심사하는 시스템이라서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이 심사했으면 저 글들로 광고 승인을 해주었을 것 같지는 않다. 2일만에 탈락에서 합격이 왔던 것을 보면 그 사이에 조치한 것이 영향이 있었을 것 같다. 그 사이에 내가 한 것은 크게 두 가지였다. 사이트 에러 확인 3월 6일 5번째 퇴짜를 맞았을 때 티스토리 페이지에서 콘솔에 에러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일단 html설정에서 올바르게 고쳐주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성공했다. 역시 ..

구글 애드센스 심사 탈락 다섯번째

이번에는 2주가 되기 전에 메일이 왔다. 하지만 다시 문제를 해결해야한다는 내용이었다. 저번에 문제 해결을 위해 했던 것들은 성에 차지 않았나 보다. 내용은 저번과 같이 광고 게재가 준비되지 않은 사이트라고 떴다. 이제 블로그 내용물은 괜찮은건가? 아무튼 검토요청을 보내고 다시 해결 방안을 찾아보았다. 저번에 내가 했던 문제 해결 방안들이다. 구글 서치 콘솔 등록(구글에 내 블로그가 검색하면 나오게 만들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등록 (다른 것은 정상이나 아직 robot.txt를 인식 못한다.) 티스토리 head에 수동으로 넣은 코드 지우기(티스토리의 구글 애드센스 연동과 충돌이 날수도 있다고 들었다. 아직은 모르지만 별로 상관 없는 것 같다.) 그리고 내가 다시 찾은 해결방안들이다. 수동 코드 ..

구글애드센스 5번째 불합격 - 사이트가 다운되었거나 사용할 수 없음 문제

어제 구글 서치 콘솔에 내 도메인을 넣어 관리 페이지를 만들고, 애드센스 통과를 위해 할만한 작업들을 따라하고 있었다. 서치 콘솔 관리 페이지에서 사이트맵에 sitemap.xml과 rss 등을 추가했었다. 그리고 오늘 갑자기 구글 애드센스에서 메일이 왔다. 일단 내용은 아직 애드센스를 사용할 수 없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평소와는 다른 느낌이 들었다. 2주도 안되서 메일이 온 것이다. 한 4일만에 온 것 같다. 뭔가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는 뜻이다. 세부 사항을 가보니 역시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사이트가 다운되었거나 사용할 수 없다는 피드백은 처음 받았다. 먼저 검토 요청을 보내고,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지 구글링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승인거부, 사이트가 다운되었거나 사용할 수 없음 해결방법, ..

내 사이트 도메인에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하기

저번부터 계속 구글 애드센스 심사에 떨어지고 있다. 글을 잘 썼다고는 못하지만 나름 꾸준히 쓰고 있었다. 그래서 다른 곳에서 원인을 찾아보고 싶었다. 그러다가 구글 애드센스는 내 글이 구글에 노출이 되어야 제대로 심사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말 그대로 내 도메인이 구글에서 검색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글에서 site: 네이버 사이트 주소로 검색하면 naver.com과 관련된 검색 결과들이 나온다. 그렇다면 내 도메인 duplicat.kr을 넣으면? 이런,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이것이 그동안 구글 애드센스 심사가 떨어진 원인일 수도 있다고 한다. 구글 ai가 내 사이트를 찾지 못하거나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확실하지는 않다. 어디서는 이런 것이 없어도 잘..

애드센스 세번째 심사 탈락?

저번에 이어서 약 2주 정도 지나니, 오늘 아침 6시 즈음에 다시 구글 애드센스에서 메일이 왔다. 저 활짝 웃는 표정의 팔짱낀 아저씨가 또 보이는 걸 보니 역시 불합격인가보다 싶었다. 여전히 내 블로그는 내용물이 없나 싶던 찰나.. 상세페이지로 가보니 이번에는 다른 피드백이 나왔다. 저번까지는 상세 보기에 들어가면 광고를 올리기에는 사이트의 컨텐츠가 부족하거나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내용이었는데, 이번에는 애드센스에 도메인을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라고 한다. 그런데 분명 처음에 신청을 넣었을 때 다 했던 것들이다. 티스토리에서 셋업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고? 이게 뭔가 싶어 구글에 검색해보니, 티스토리 수익창출 관리에서 애드센스를 연결하지 않음 애드센스에서 티스토리를 제대로 등록하지 않음 티스토리 스킨..

2. qnn24 진행퍼센트 알려주는 크롬 확장프로그램 만들기 - 버그 패치

저번에 만들었던 qnn 확장 프로그램이 어느 순간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시작했다. 분명 qnn 사이트에서 기사를 보고 있는대도 퍼센트가 올라갔다는 알림이 오지 않았다. 새로고침을 해도 다시 주소를 입력해도 반응이 없었다. f12로 콘솔 로그를 찍어도 아무련 변화가 없었다. 결국 manifest.json의 matches의 인식해야 하는 주소를 더 추가해서 어떻게든 이 프로그램이 qnn사이트를 인식하기를 빌었다. 그러자 잠깐 인식이 되는가 싶었더니 페이지를 이동하자 다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멈춰버렸다. 그러다 알게 된 건데, 인식이 실패한 상태에서 새로고침을 한번 눌러주면 인식이 되는 것이었다. 단순히 페이지 이동하는 것으로는 사이트의 주소가 바뀐 것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같았다. 예전에 특정 사이트..

공부 2023.01.29
반응형